티스토리 뷰
2023년이 벌써 2월이 지난 지금 현재 전반적인 부동산 동향 파악에 앞서 작년 3분기의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KDI 보고서를 통해 파악해 보기로 한다. KDI는 경제정보센터 (Korea Development Institute)의 줄임말로 매일 새롭게 제공되는 주요 기관들의 다양한 경제 정책자료를 만나볼 수 있다. 주력 업무는 경제 정책에 대한 정보를 홍보하고 제공하는 일이며, 산업과 긍융, 지역경제, 금융, 무역 등에 관한 최신 자료를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경제 문제에 대한 국내외 언론들의 정보를 취합하고 국내 교육자들을 위한 경제 교육자료를 제공하는 일도 병행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 동향
1. 주택매매시장
주택매매시장은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거래량이 크게 감소하고 그 하락폭 또한 확대되었다.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하락하고 전분기 (0.07%)보다 낮은 -0.85%를 기록하였으며 그 하락폭이 점차 확대되고있다. 주택유행별로 아파트가 전분기 (-0.16%)대비 1.48% 하락하였으며, 연립 다세대주택 (-0.21%)과 오피스텔 (-0.24%)도 하락으로 전환되었다.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서울이 하락한 가운데, 경기와 인천의 하락폭이 큰 폭으로 확대되었고 전분기 (-0.05%)보다 1.19% 하락하였다. 서울 주택매매가격 (0.08% ->-0.79%)이 하락으로 전환되어 노원구와 도봉구등 동북권이 크게 하락하였다. 경기 주택매매가격 (-0.08%->-1.32%)은 의왕과 광명을 비롯하여 수원 영통구와 주변의 화성, 오산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락하였으며 인천 주택매매가격 (-0.28%->-1.75%)은 연수구를 중심으로 전분기 대피 하락폭이 확대되었다. 비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5대 광역시의 하락폭이 확대되고 기타 지방도 하락으로 전환되면서 전분기 (0.17%)보다 부진한 -0.54%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기타 지반 (0.45%->-0.11%)은 강원과 전북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하락 반전하였다.
2.주택매매거래
7~8월 전국 주택매매거래는 전국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여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주택유형별로 7~8월의 아파트 매매거래가 전년동기간 대비 65.7% 감소한 4.1만호를 기록하였으며, 연립,다세대주택은 43.9% 감소한 2.1만호를 기록하였다. 수도권 전 지역에서 거래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비수도권 또한 지방 5대 광역시 및 기타 대부분 지역에서 거래가 큰 폭으로 축소되었다. 연령별로 가장 높은 거래비율을 보이던 30대 이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60대 이상의 매매거래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택수급동향은 전국적으로 기준인 100을 하회하며, 공급 대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전국 주택수급동향은 3/4분기에 들어 더욱 낮아지며, 주택 수요 대비 공급량 초과에 따른 수급 불균형이 확대되었다. 수도권의 주택 수급동향 (9월 기준 83.40)은 서울 (82.67)을 비롯하여 경기 (84.33)와 인천 (81.18)에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지방 5대 광역시(84.86)도 모든 지역에서 100을 하회하였으며, 특히 대구(75.28)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지속하였다. 한편, 기타 지방(94.61) 또한 기준치(100)를 소폭 하회하였으며, 세종(84.06)과 제주(89.74) 는 주택 수요 대비 공급 초과 현상이 지속적으로 심화되었다.
3.신규주택 공급
신규주택 준공물량이 증가하고 주택 인허가 실적 또한 양호한 흐름이긴 하나 주택 착공 물량은 낮은 수준을 지속하였다. 7~8월 전국 주택 준공물량은 인천과 지방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전년동기간(6.6만호) 대비 14.9% 증가한 7.5만호를 기록하였다. 전국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년동기간 대비 6.8% 증가한 반면, 착공실적은 7.4% 감소하였다. 아파트 입주물량은 인천과 지방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증가하여 예년 수준을 이어가고 있으 며, 하반기 입주예정물량도 양호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아파트 분양물량은 인천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하였으며, 2022년 하반기 분양예정 물량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계획된다. 하반기 아파트 분양예정물량(23.4만호)은 수도권(11.4만호)과 지방 5대 광역시(4.1만호)를 중 심으로 작년 하반기 물량 수준을 상회할 예정이다. 전국 미분양주택 수는 대구와 경북을 중심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하는 모습이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중산층의 정의를 중위소득과 소득점유율, 소비기준을 통해 알아보자 (0) | 2023.02.07 |
---|---|
제14회 관광벤처사업 초기부문 모집 공고 지원요건 지원내용 유의사항 알아보기 (0) | 2023.02.07 |
도전! K-스타트업 2023 참가자격과 평가방식 및 지원내용 그리고 유의사항 알아보기 (0) | 2023.02.07 |
경제동향으로 파악으로 경기, 소비 및 물가, 세계경제를 알아보자 (0) | 2023.02.07 |
서울시 안심소득 뜻 지원자격 지원액 알아보기 (0) | 2023.02.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문법정리
- 영어
- ought to
- as soon as 뜻
- Little
- 영어기본
- 상태동사
- could해석
- 진행시제
- 영문법
- 복수형
- Could
- can could
- 영어회화
- have to
- could뜻
- should
- 부사절
- 성인영어
- 문법정리
- Must
- 일상표현
- 시제정리
- until 뜻
- a few
- 동작동사
- 영어표현
- 영어문법
- 영화추천
- 영어기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