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에서 "be supposed to"는 기대, 일정, 그리고 해야 할 행동을 표현할 때사용하는 만능 표현이에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 누군가의 기대가 있을때 사용! 🌍 “Be supposed to”는 사람들이 어떤 일이 발생하기를 기대하거나 어떤 정해진 절차를 따를 때 사용해요. The movie is supposed to start at 7:00 PM. 🎬(영화는 오후 7시에 시작하기로 되어 있어.) The board members are supposed to decide on the budget today. 💼(이사회는 오늘 예산을 결정하기로 되어 있어.) 💡 TIP: 예정된 이벤트나 공식적인 절차를 말할 때 딱! 사용해 보세요.행동에 대한 기대나 요구 👩..

지난 일에 대한 아쉬움과 후회를 느낄 때,영어로도 그 감정을 표현하는 멋진 방법이 있어요. 함께 한번 알아볼까요?🎉 "Should Have" – 이미 지나간 일을 되짚으며 🤔 "Should have + 과거분사" :우리가 과거에 했어야 했지만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를 나타내요.💬 "I should have done it!"는 “그때 했었어야 했는데!”라는 아쉬움이 묻어있는 표현이죠. "아.. 시험이 이렇게 망할 줄이야..!""I should have studied last night." 🎓(어젯밤에 공부했어야 했는데...) "전화를 왜 그렇게 늦게한거야...!""You should have called us earlier." 📲(좀 더 일찍 전화했어야지!)"Should Not Have" –..

영어에서는 명사가 다른 명사를 꾸밀 수 있어요!형용사처럼 변신하는 신기한 명사!함께 공부해볼까요? 🚀 명사가 명사를 꾸밀 때는 단수로만! 🎯다른 명사를 꾸미기 위해 사용되는 명사는 항상 단수형으로 사용해야 해요! (절대 복수형 아님!) "This shop sells books." 📚→ It is a bookshop. 🏪 (여긴 서점이에요.) "The factory makes cars." 🚗 → It is a car factory. 🏭 (여기는 자동차 공장이에요.) "We saw a movie at the theater." 🎬→ It was a movie theater. 🍿 (우리는 영화관에서 영화를 봤어요.) 💡 TIP: 명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복수형으로 바꾸지 않아요! 무조건 단..

영어에서 소유격 명사는 "누구의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지금부터 재미있게 배워봅시다! 🚀단수 명사! 👩🎓단수 명사 뒤에 's를 붙이면 소유를 나타낼 수 있어요. "The cat’s toy is under the bed." 🐱(고양이의 장난감이 침대 밑에 있어요.) "Emma’s book is on the table." 📚(엠마의 책이 테이블 위에 있어요.) 💡 TIP: 만약 명사가 -s로 끝난다면? "Thomas’s laptop is brand new." 💻(토마스의 노트북은 새 거예요.) "Thomas’ jacket is hanging by the door." 🧥(토마스의 재킷이 문 옆에 걸려 있어요.) 👉 둘 다 맞는 표현이에요! 상황에 따라 골라 쓰세요. ?..
- Total
- Today
- Yesterday
- should
- 시제정리
- 진행시제
- ought to
- until 뜻
- 문법정리
- 상태동사
- 동작동사
- 영문법정리
- 영어회화
- 영어표현
- 일상표현
- a few
- 부사절
- Must
- Little
- 영어기초
- as soon as 뜻
- 영어문법
- Could
- 영문법
- 영어기본
- could해석
- 성인영어
- could뜻
- 영화추천
- 영어
- can could
- have to
- 복수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