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떤 상황에서든 좋은 조언을 주고받는 것은 정말 중요하죠!

하지만 살짝 뉘앙스가 다른 "Could"와 "Should"를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요? 

 

"Could" – 여러 가능성을 제안할 때 🌈

✅ "Could"는 다양한 옵션을 제시하면서 "이렇게 할 수도 있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선택지는 많고, 결정은 상대방에게 맡기는 느낌이죠.

 

💬 "What should we do this weekend?"
👉 "We could go to the beach or maybe watch a movie!" 🏖️🎬
(해변에 갈 수도 있고, 영화를 볼 수도 있어!)

 

💬 "I’m feeling really stressed these days."
👉 "You could try meditating or take a short trip." 🧘‍♂️✈️
(명상을 해보거나 짧은 여행을 가볼 수도 있어!)


"Should" – 강한 조언을 줄 때 📢

✅ "Should"는 확신을 가지고 "이걸 하는 게 좋을 거야!"라고 말하는 표현이에요.

강한 추천을 하거나 책임감을 강조할 때 사용하죠.

 

💬 "I’m struggling with my studies."
👉 "You should get a tutor and study more regularly." 📚✍️
(과외 선생님을 구하고 더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게 좋겠어.)

 

💬 "I’ve been feeling really tired lately."
👉 "You should get more sleep and drink less coffee." ☕😴
(잠을 더 자고 커피를 줄이는 게 좋아.)

 

💡 Tip: "Maybe"를 앞에 붙이면 조금 더 부드럽게 말할 수 있어요!


"Should Have" –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 😞

✅ 과거의 선택이 잘못되었을 때 "Should have + 과거분사"를 사용해요.

"그때 그렇게 했어야 했는데…"라는 후회와 아쉬움을 담고 있죠.

 

💬 "I failed my history test!"
👉 "You should have studied more instead of watching TV." 📺📖
(공부를 더 하고 TV를 덜 봤어야지!)

 

💬 "I missed the last train home."
👉 "You should have left earlier!" 🚆⏳
(좀 더 일찍 출발했어야지!)


"Could Have" – 지나간 기회와 가능성 🌠

✅ "Could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가능했던 선택들을 말할 때 써요.

"이렇게 할 수도 있었는데 결국 안 했네?"라는 의미예요.

 

💬 "I didn’t get the job."
👉 "You could have prepared more for the interview." 💼
(면접 준비를 더 했을 수도 있었어.)

 

💬 "We got soaked in the rain!"
👉 "We could have checked the weather before leaving!"
(출발 전에 날씨를 확인할 수도 있었잖아!)


📌 정리! 💡

"Could" →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때
"Should" → 강한 조언이나 추천을 할 때
"Should Have" → 과거의 후회를 표현할 때
"Could Have" → 과거의 가능성을 되짚을 때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